티스토리 뷰
킬러 문항 배제 수능 수학 22번 문항 '시끌'
'킬러 문항' 배제 방침이 처음 도입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수학 영역 한 문제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수능 출제기관은 공교육 과정을 충실히 밟았다면 풀 수 있는 정도라고 하지만 수험생 사이에선 '사실상 킬러 문항'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다.
17일 각종 수험생 커뮤니티에는 전날 치러진 수능 수학 영역 22번 문항을 두고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해당 문항은 미분계수 부호를 고려해 조건을 만족시키는 그래프 개형을 추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함수식을 구하는 문제다.
한 수험생은 수험생 커뮤니티 '오르비'에 "수학 22번이 킬러가 아니면 뭐가 킬러냐"라는 글을 올렸다. 교육 당국이 킬러 문항 배제했다고 하지만 풀이가 쉽지 않은 만큼 사실상 킬러 문항이라는 주장이다.
또 다른 수험생들도 "수학 22번 역대급 난이도다. 이게 킬러 배제?", "킬러 안 낸다면서 수학 22번 뭐냐" 등 반응을 쏟아냈다.
실제 한 입시업체 수학 강사도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22번 문제를 푸는 데 20분 이상 걸렸다. 또 한 입시 전문가는 "상위권 수험생들 결과를 살펴보니 22번 문항 정답률이 10%를 못 넘기고 있다"며 "이렇게 되면 '킬러 문항'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했다.
반면 전날 세종 교육부에서 브리핑을 가진 EBS 현장 교사단에서는 '킬러 문항'은 아니지만 변별력 있는 문제라는 평가를 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EBS 현장교사단은 22번 문항에 대해 "지난해 킬러 문항 수준까지 정답률이 떨어지거나 교육과정에 어긋나고 사교육 요소가 가미된 문제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복잡한 계산이 많이 줄었고, 여러 개념을 적용할 필요 없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게 현장교사단 의견이다.
EBS 강사인 심주석 인천 하늘고 교사는 "단답형 정답률을 9월 모의평가보다 조금 더 강화해 최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했다"며 "학교에서 배운 후 얼마나 연습을 많이 했는지에 따라 정답률이 차이가 나는 문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 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조건을 만족시키는 그래프라는 것까지 접근이 되면 계산량이 상당히 줄어든다"고 덧붙였다.
'성공을위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 인질 13명 풀려나 (1) | 2023.11.25 |
---|---|
환율관찰대상국에서 한국 제외 의미와 영향 (0) | 2023.11.24 |
양자암호 관련주 쏠리드 드림시큐리티 옵티시스 주가 추이 (0) | 2023.11.16 |
우리아이 영어루틴 웅진 슈퍼팟잉글리시 무료체험 EVENT (0) | 2023.11.15 |
스마트러닝 아이스크림 홈런 이벤트 (0) |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