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금리 더 오를라, 단기 예금으로 몰리는 금융소비자들
연말 더 높은 금리로 갈아타려 금리 낮은 6개월 미만물 가입↑
예금 평균 금리 끌어내리는 효과
시장금리 상승세에도 평균 예금금리는 되레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말 '더 높은 금리'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늘면서, 금리가 낮은 단기예금에 돈이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에 따르면, 순수저축성예금 평균 금리는 전월 대비 0.04%포인트 하락한 연 3.59%로 나타났습니다. 6월(연 3.65%) 이후 2개월 연속 소폭 하락세입니다. 비중이 큰 정기예금 금리(연 3.59%)가 0.04%포인트 하락한 탓입니다.
만기 1년 미만의 정기예금, 특히 금리가 낮은 6개월 미만 예금이 늘면서 수신금리 평균을 끌어내렸다는 설명입니다. 만기 6개월 미만 정기예금의 지난달 평균금리는 연 3.47%로, 6개월~1년 미만(3.73%), 1~2년 미만(3.75%) 대비 0.3%포인트 가까이 금리가 낮습니다. 그런데도 5~7월 세 달간 전체 정기예금 잔액 중 만기 6개월 미만 잔액은 17.2%에서 18.0%로 비중을 확대했습니다. 6개월~1년 미만 잔액은 18.2%에서 17.1%로 줄었고, 1~2년 미만물은 59% 안팎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장은 지난해 9~11월 정기예금 잔액 증가분을 참고해, 연말 약 116조 원의 만기가 돌아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대로 가계대출 금리는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연 4.31%)가 시장금리를 고스란히 반영해 더디지만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상반된 흐름은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를 6개월 만에 벌리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지난달 예대금리차는 1.45%포인트로 전월 대비 소폭(0.02%포인트) 커졌습니다.
대출금리가 오르자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가계도 2개월 연속 늘었습니다. 지난달 가계대출 고정금리 비중은 54.1%, 주담대 고정금리 비중은 76.5%입니다. 각각 전월 대비 1.2%포인트, 2.8%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변동금리(연 4.5%) 대비 금리가 낮다는 점도 고정금리(연 4.25%)의 매력을 높입니다.
'성공을위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청년 교통비 지원 10만원 신청방법 및 신청 홈페이지 (1) | 2023.10.09 |
---|---|
2024 수시 인서울 대학 영문학과 교과전향 경쟁률 (0) | 2023.10.07 |
다시 돌아온 예금금리 4% 시대, 대출금리 동반 상승 우려 (0) | 2023.09.20 |
초보자를 위한 주식 투자 가이드: 성공을 위한 5가지 단계 (1) | 2023.09.09 |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신청 대상, 서류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08.29 |